- 협력병원
서울대병원 정형외과 교수진과의 공동연구개발
기존의 무릎관절교정술(근위경골 절골술)에 사용되는 고정용 금속판은 서양인 체형을 기반으로 만들어져
수술 후 부자연스러운 움직임과 이물감으로 인해 관절 운동의 불편함이 뒤따랐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출신 조율원장은 수많은 환자의 무릎 진료와 수술 사례를 토대로 기존 금속판의 단점을 보완하고 한국인 무릎 관절의 형태학적 특성에 최적화된 수술용 금속고정판 (Plate)을 연구 개발하여 비로소 ‘한국형 근위경골 절골술’을 선도하는 쾌거를 이루게 되었습니다.
서울대병원
정형외과 출신조율원장
관절 내고정으로 인해 환자가 느낄 수 있는 이물감과 자극을
최소화하고 뼈와의 밀착력을 높여 보다 빠른 회복이 가능합니다.
한국인 무릎 뼈 구조에 딱 맞춘 수술
운동성 향상으로 빠른 재활
적은 이물감으로 편안한 보행
불유합 위험 없이 곧은 휜다리 교정
자신의 관절을 최대한 보존하는 근위경골 절골술은 수술 후 정상에 가까운 정도의
관절 운동이 가능하여 쪼그려 앉기, 양반다리, 뛰는 운동 등의 활동에 비교적 제한이 없습니다.
다리의 휘어짐이 심하더라도 교정 금속판을 고정하는 스크류의 길이와 각도, 위치 조절이 가능해 보다 정교하고 견고한 고정이 가능합니다.
무릎 뼈와의 밀착력이 우수하여 수술 후 이물감이 적습니다. 따라서 회복기간 동안에도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관절운동이 가능합니다.
내고정판으로 인한 이물감을 최소화하여 운동성을 향상시켰습니다. 보다 적극적인 재활이 가능하므로 더욱 빠른 회복이 가능합니다.
환자 무릎의 형태에 따라 스크류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어 불유합, 관절 내 골절 위험없이 안정적인 무릎 교정이 가능합니다.
기존 근위경골 절골술의 금속고정판 | 한국형 근위경골 절골술의 금속고정판 | |
---|---|---|
환자 무릎 형태에 따른 내고정의 한계 | 고정 | 환자 무릎 형태에 맞추어 내고정 가능 |
수술 부위 이물감 발생 | 이물감 | 수술 부위 이물감 최소화 |
이물감으로 인해 관절운동이 불편 | 운동성 | 운동성이 향상되어 재활기간 단축 |
고정판 이동 및 불유합 가능성 있음 | 골유합 | 고정판 이동 없음, 안정적인 골유합 |
무릎 관절을 보존하는 치료법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를 바탕으로
이제, 한국인에게 가장 적합한 근위경골 절골술이 가능합니다!
개인의 상태에 따라 드물게 염증 등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
무릎관절교정센터 의료진은 오랜 경험과 노하우로 관절치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마디세상병원은 마취통증의학과, 영상의학과와 협진하여 더 체계적이고 정확한 치료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정형외과 / 관절센터
구분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진료 | 수술 | 수술 | 진료 | 진료 | 격주 |
오후 | 진료 | 진료 | 진료 | 수술 | 수술 | |
야간 | 격주 |
정형외과 / 관절센터
구분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진료 | 수술 | 진료 | 수술 | 수술 | 격주 |
오후 | 수술 | 진료 | 진료 | 수술 | 진료 | |
야간 | 격주 |
정형외과 / 관절센터
구분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진료 | 진료 | 진료 | 수술 | 수술 | 격주 |
오후 | 진료 | 수술 | 수술 | 진료 | 진료 | |
야간 | 격주 |
정형외과 / 관절센터
구분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수술 | 진료 | 수술 | 진료 | 진료 | 격주 |
오후 | 진료 | 수술 | 수술 | 진료 | 수술 | |
야간 |
오시는 길
서울특별시 중랑구 동일로 890 마디세상병원진료문의 02.978 85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