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협력병원
척추관 협착증이 목에도 발생합니다. 신경관을 구성하는 관절이나 황색인대가 퇴행성으로 두꺼워져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를 좁히거나, 뼈가 자라나와 신경을 압박할 때 발생합니다. 목에서부터 팔까지 저리거나 통증을 호소하며, 심한 경우 상지는 물론, 하반신까지 마비 증세가 발생할 수 있어 증상이 나타날 경우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상당히 중요합니다. 경추 협착증을 방치하거나 심한 경우에는 척수병증으로 발전하기도 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의 증상입니다.
신경의 치명적인 압박 혹은 손상이 관찰되지만 않다면, 절대 단편적으로 MRI 결과만으로 치료를 결정하지 않습니다.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비수술적 치료가 우선적이며, 증상이 심하거나 신경 압박/손상이
심하다면 부득이 수술을 포함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진통 소염제, 근육 이완제를 포함한 약제의 처방으로 통증을 경감시킵니다.
도수치료사가 수기를 활용해 이완요법, 교정치료로 통증 경감과 체형 불균형 교정을 치료합니다.
방사선 영상장치(C-ARM)를 보며 디스크와 신경 사이에 주사하여 신경주위 염증과 부종, 이로 인한 통증을 가라앉힙니다.
절개없이 초소형 카테터를 꼬리뼈를 통해 삽입하여 병변 부위에 약물을 직접 주입합니다. 신경 유착을 풀어주고 염증, 부종, 이로 인한 통증을 가라앉힙니다.
초소형 내시경을 병변 부위에 직접 삽입하여 신경을 압박하는 구조물을 제거합니다. 주변 근육 및 조직손상을 최소화하여 회복이 빠른 것이 큰 장점입니다.
약 1.5cm의 최소절개 후 수술 부위를 수십배 확대해주는 미세현미경을 이용해 신경을 압박하는 구조물을 제거하는 수술입니다.
신경압박이나 손상이 심한 경우 척추 나사를 이용해 척추 뼈 마디를 고정하는 유합술을 통해 광범위한 신경감압을 시행합니다.
정형외과 / 척추센터
구분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진료 | 진료 | 진료 | 진료 | 진료 | 격주 |
오후 | 진료 | 진료 | 진료 | 진료 | 진료 | |
야간 | 격주 |
오시는 길
서울특별시 중랑구 동일로 890 마디세상병원진료문의 02.978 85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