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월상 연골판은 무릎의 충격을 흡수해주는 반달모양의 무릎 연골판입니다. 무리한 운동이나 외부에서 오는 충격 또는 퇴행성 변화에 의해서 연골판이 손상되어 발생하는 질환이 반월상 연골판 파열 입니다. 방치할 경우에는 파열 범위가 넓어지고 관절연골에 손상을 주게 되어 퇴행성관절염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월상 연골 파열의 원인
스포츠 활동을 하다가 무릎이 비틀어지는 경우
계단이나 움푹 패인 곳에 발을 헛디디면서 갑작스럽게 방향 전환되거나 급정지를 할 경우
연골판이 반달 모양이 아닌 기형인 경우
퇴행성 변화로 내측 반월상 연골이 지저분하게 파열되는 경우
그 외에도 특별한 이유 없이 파열이 되는 경우
반월상 연골판 파열의 다양한 형태
반월상 연골이 파열되어 관절내로 튀어 나온 형태
반월상 연골이 만성 파열된 모습으로 퇴행성 파열 형태
반월상 연골이 원판형 형태로 존재하나 그 성질이 잘 파열되는 형태
원판형 연골이 파열되어 그 틈이 벌어진 형태
반월상 연골 파열의 증상
급성
무릎에 물이 차거나 피가 차서 갑자기 붓게 됩니다.
무릎이 잠기게 되어 구부리거나 펴기가 어렵습니다.
체중을 디딜 수 없어 절뚝 거리면서 걷게 됩니다.
만성
보행시 자꾸 동일한 부위에 통증이 있습니다.
보행은 가능하나 무릎 안에서 걸리는 증상이 생깁니다.
무릎을 완전하게 펴기가 어렵습니다.
서 있으면 무릎 주변에 통증이 발생됩니다.
반월상 연골 파열의 진단
전문의의 진찰로 파열을 의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X-ray 검사상 직접적으로 파열을 진단할 수 없지만 관절 간격의 감소, 다리 모양의 변형 등을 찾아 내어 전체적인 무릎의 상태를 먼저 파악해야 됩니다.
초음파 : 부분적으로 파열을 찾을 수 있지만 정확성이 떨어집니다.
MRI : 가장 정확한 검사로 반월상 연골의 파열, 동반된 인대나 주변 구조물 등의 손상을 알 수있고 치료 방법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습니다.
반월상 연골이 급성 파열된 형태로 무릎내 혈종(피)가 찬 상태의 MRI
반월상 연골이 만성 파열된 형태로 파열의 형태가 지저분한 상태의 MRI
반월상 연골이 만성 파열된 형태로 파열의 형태가 지저분한 상태의 MRI
MEDICAL TREATMENT
주요 치료법
마디세상병원에서는 오랜 경험과 노하우를 쌓아온 의료진이 협진 시스템을 갖추고 환자별 1:1 맞춤 치료 계획을 세워 치료를 시행하고 있습니다.